근로자의 날 법정 공휴일 근무수당 계산법 알아보기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입니다. 일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아야 하는 날이죠.
그런데 사업장 규모나 근로 형태에 따라 수당 지급 기준이 달라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부터 5인 이상 vs 5인 미만 사업장, 시급제 vs 월급제, 야간 근무 수당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근로자의날 법정공휴일

 

저도 직장인으로서 근로자의 날 수당없이 근무하게 되면 얼마나 억울한지 모르겠습니다!

올해는 한 동료 선생님의 용감한 행동으로 인해 근로자의 날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하네요! ㅎㅎ

여러분도 아래의 글 확인하시고 꼭! 근로자로서의 권리를 보장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5인 이상 사업장

  • 유급휴일: 근무 여부 상관없이 기본 임금 100% 지급
  • 근무 시: 기본임금 100% + 휴일 가산수당 50%
  • 총 지급: 시급의 2.5배 (250%)
  • 예시: 시급 10,000원 × 8시간 × 2.5 = 20만원

 

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1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3

 

✅ 5인 미만 사업장

  • 유급휴일: 근무 여부 상관없이 기본 임금 100% 지급
  • 근무 시: 기본임금 100%만 추가 (휴일 가산수당 없음)
  • 총 지급: 시급의 2배 (200%)
  • 예시: 시급 10,000원 × 8시간 × 2 = 16만원

 

✅ 월급제 근로자라면?

  • 유급휴일 수당은 포함되어 있어 별도 지급 없음
  • 근무했다면? 기본급 외 휴일 가산수당 50% 추가 지급

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4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5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6

🌙 야간 근무 시 추가 수당

22시~06시 사이 근무 시 야간수당 50% 추가 적용 가능합니다.

공무원 및 5인 미만 사업장은 법정 공휴일 적용 대상이 아니며, 근로자의 날 휴무 의무가 없습니다.
그러나 사업주가 휴업 지시를 하더라도 유급휴일 수당은 반드시 지급되어야 합니다.

 

📌 요약 표

사업장 유형 근로 여부 지급 수당
5인 이상 미근무 기본임금 100% (유급휴일)
5인 이상 근무 시급 2.5배 (250%)
5인 미만 미근무 기본임금 100% (유급휴일)
5인 미만 근무 시급 2배 (200%)

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1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2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3

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4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5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6
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27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31근로자의 날(5월 1일) 수당 지급 기준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