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입니다. 일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아야 하는 날이죠.
그런데 사업장 규모나 근로 형태에 따라 수당 지급 기준이 달라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부터 5인 이상 vs 5인 미만 사업장, 시급제 vs 월급제, 야간 근무 수당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저도 직장인으로서 근로자의 날 수당없이 근무하게 되면 얼마나 억울한지 모르겠습니다!
올해는 한 동료 선생님의 용감한 행동으로 인해 근로자의 날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하네요! ㅎㅎ
여러분도 아래의 글 확인하시고 꼭! 근로자로서의 권리를 보장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5인 이상 사업장
- 유급휴일: 근무 여부 상관없이 기본 임금 100% 지급
- 근무 시: 기본임금 100% + 휴일 가산수당 50%
- 총 지급: 시급의 2.5배 (250%)
- 예시: 시급 10,000원 × 8시간 × 2.5 = 20만원
✅ 5인 미만 사업장
- 유급휴일: 근무 여부 상관없이 기본 임금 100% 지급
- 근무 시: 기본임금 100%만 추가 (휴일 가산수당 없음)
- 총 지급: 시급의 2배 (200%)
- 예시: 시급 10,000원 × 8시간 × 2 = 16만원
✅ 월급제 근로자라면?
- 유급휴일 수당은 포함되어 있어 별도 지급 없음
- 근무했다면? 기본급 외 휴일 가산수당 50% 추가 지급
🌙 야간 근무 시 추가 수당
22시~06시 사이 근무 시 야간수당 50% 추가 적용 가능합니다.
공무원 및 5인 미만 사업장은 법정 공휴일 적용 대상이 아니며, 근로자의 날 휴무 의무가 없습니다.
그러나 사업주가 휴업 지시를 하더라도 유급휴일 수당은 반드시 지급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사업주가 휴업 지시를 하더라도 유급휴일 수당은 반드시 지급되어야 합니다.
📌 요약 표
사업장 유형 | 근로 여부 | 지급 수당 |
---|---|---|
5인 이상 | 미근무 | 기본임금 100% (유급휴일) |
5인 이상 | 근무 | 시급 2.5배 (250%) |
5인 미만 | 미근무 | 기본임금 100% (유급휴일) |
5인 미만 | 근무 | 시급 2배 (200%) |
'이것저것아무거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카톡 만화 사진 프로필 만들기(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어요!) (2) | 2025.04.17 |
---|---|
[2025년] 양천구 장애청소년 상해보험 완전 정리! 신청 서두르세요 (0) | 2025.04.16 |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1) | 2025.04.11 |
ChatGPT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만들기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방법) (0) | 2025.04.10 |
ChatGPT 사용하는 법 총정리 – 초보자도 5분 만에 이해하는 인공지능 활용법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