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대 보험 요율 및 계산법 정리

4대 보험은 국민 건강과 사회 안전망을 보장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험입니다. 4대 보험에는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포함되며, 매년 요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4대 보험 요율과 계산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4대 보험이란?

2025년 4대 보험 요율 및 계산법 정리

4대보험계산기

 

4대 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사회보험으로, 각각의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 국민연금 : 노후 생활 보장을 위한 연금 제도
  • 건강보험 :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건강보험 제도
  • 고용보험 : 실업 시 소득을 지원하는 고용보험 제도
  • 산재보험 : 업무 중 발생한 재해를 보상하는 산업재해보험 제도

각 보험료는 근로자의 급여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 적용해 산출되며,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부담하는 비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2025년 4대 보험 요율

2025년 4대 보험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연금

  • 요율: 9%(근로자 4.5%, 사업주 4.5%)
  • 주의: 2025년 7월 이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예: 월 급여 300만 원인 경우 : 근로자 부담 135,000원, 사업주 부담 135,000원

 

건강보험

  • 요율: 7.09%(근로자 3.545%, 사업주 3.545%)
  • 2024년과 동일하게 동결되었습니다. 
  • 예: 월 급여 300만 원인 경우 : 건강보험료 근로자 부담 106,350원, 장기요양보험 추가 부담 13,628원


2025년 4대 보험 요율12025년 4대 보험 요율22025년 4대 보험 요율3

 

 

장기요양보험

  • 요율: 건강보험료의 12.95%
  • 가입자와 사업주가 각각 50%씩 부담합니다. 

 

고용보험

  • 기본 요율: 1.8%(근로자 0.9%, 사업주 0.9%)
  • 사업주 추가 부담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 150인 미만 기업 : 0.25%
    - 150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 0.45%
    - 150인 이상 1,000인 미만 기업 : 0.65%
    - 1,000인 이상 기업, 국가 지방자치단체 : 0.85%
  • 예 : 월 급여 300만 원인 경우 : 근로자 부담 27,000원, 사업주 부담 22,500원

 

산재보험

  • 사업주가 전액 부담으로 근로자 부담이 없습니다. 
  • 업종에 따라 요율이 상이합니다. (평균 1.5% 수준)
  • 예 : 월 급여 300만 원, 산재보험 요율 1.5% 적용 시 : 사업주 부담 45,000원 

2025년 4대 보험 요율은 대부분 2024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국민연금의 경우 연령별로 요율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변경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4대 보험 요율42025년 4대 보험 요율62025년 4대 보험 요율7

 

 

 


 

4대 보험료 계산법

4대 보험료는 기본적으로 월 급여(기본급+수당) x 해당 보험 요율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인 직장인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보험료가 산출됩니다. 

보험종류 근로자 부담 사업주 부담
국민연금 135,000원 135,000원
건강보험 106,350원 106,350원
장기요양보험 13,628원 13,628원
고용보험 27,000원 22,500원
산재보험 없음 45,000원(예시)
합계 281,978원 322,478원

 

총합을 보면, 근로자는 약 28만 원, 사업주는 약 32만 원을 4대 보험료로 부담하게 됩니다. 

4대 보험료 계산법14대 보험료 계산법24대 보험료 계산법3

 


 

4대 보험 절감 방법

 

일부 기업에서는 4대 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합니다. 

  • 비과세 소득 활용 : 식대, 자가운전 보조금 등 비과세 항목을 적극 활용하면 과세 소득이 줄어 보험료 부담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임금 설계 조정: 기본급과 수당을 조정하여 4대 보험료 절감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일정 소득 이하 근로자의 부담 완화 : 고용보험 두리누리 지원제도를 활용하면 일정 소득 이하 근로자의 보험료 일부를 정부에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4대 보험은 근로자의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하는 중요한 사회 안전망입니다. 하지만 매년 요율이 변동되므로, 최신 버전을 확인하고 보험료 부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급여 설계 시 4대 보험 부담을 고려하여 최적의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4대 보험 절감 방법14대 보험 절감 방법24대 보험 절감 방법3